전체 글

전체 글

    [CSS 레이아웃] ③ Position (static, relative, absolute & fixed)

    Position이란? CSS 레이아웃에서 position은 HTML 요소의 위치를 이동시킬 때, 그 기준점을 설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속성이다. Position 속성의 값으로는 static, relative, absolute, fixed, sticky 이렇게 다섯 가지 유형이 있으며, 각 유형에 따라 top/bottom, left/right 속성으로 기준점으로부터 이동시키고 싶은 만큼 요소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1. Static (기본값) 모든 요소가 기본값으로 갖는 Position 속성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은, 가장 일반적인 상태이다. 2. Relative 자기 자신이 원래 있던 자리를 기준으로 이동! Float이 적용된 요소는 "집 나간 자식"처럼 여겨져 해당 요소가 원래 있던 자리를 빈 공간..

    [TIL] 객체란 무엇이며, 객체가 필요한 이유는? (JavaScript)

    객체란? 하나의 변수에 여러 속성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자바스크립트의 참조형 데이터 타입 중 하나 아래 이미지처럼 Key(속성 이름)과 Value(속성 값)이 한 쌍의 Property(속성)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배열과 달리 순서가 중요하지 않다. 객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평소처럼 변수를 선언한 다음, 중괄호로 Key-Value의 속성 쌍을 묶어주면 된다. (= Object Literal 방식) 배열 예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배열이 있다고 생각해보자. let person1 = ['곽철용', 'AB형', 'ENFP', '바닐라라떼']; 위 배열에는 특정 사람의 이름과 혈액형, MBTI, 좋아하는 커피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다. 우리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해당 배열에 있는 Index numbe..

    [프로그래머스] K번째수 (JavaScript)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